공부를 너무 안한다.
당장 4월 20일이 시험인데.
정독을 해보려고 해도 눈에 안들어온다.
손으로 쓰는것조차 눈에 들어오지 않으니
일하는 척이라도 할 겸 블로그에 이론을 적어 옮겨보려고 한다.
오늘은 그 1일차다.
일단 정보보안부터 시작한다.
☆ 정보보안 3대 요소
기밀성 : 인가된 사용자에게만 접근 허용
무결성: 인가된 사용자만이 수정 가능
가용성: 인가된 사용자는 범위내에서 자원 접근 가능
+ 인증(사용자 신분확인) / 부인방지(송.수신 증거제공)
☆ AAA(Triple-A)
Authentication(인증) : 사용자 신원 확인
Authorization(권한 부여) : 접근 권한 확인
Accounting(계정관리) : 자원 사용에 대한 정보 수집
☆ 양방향 암호화 방식
대칭키 / 비밀키 / 개인키 : 동일한 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/ 복호화
비대칭키 / 공개키 : 암호화 키는 DB 사용자에게 공개, 복호화 키는 비밀키로 관리자만.
ECC 제외하고 E들어가면 대칭키, ARIA는 A가 대칭이니까 대칭키 나머지는 비대칭키
키길이 : 편지를 잠그는 자물쇠의 강도 > 키가 강할수록 해킹이 어려워짐
블록 크키 : 편지를 암호화할 때 한 번에 처리하는 글자 수 > 128비트라면 편지를 128비트(16바이트) 단위로 잘라서 암호화
-- 대칭키
DES : IBM에서 개발, 미국 NBS에서 국가 표준으로 발표 (오래된 철문 자물쇠)
AES : NIST(미국 표준 기술 연구소) 발표 / 레인달(rijindeal)기반 암호화 / SNP 암호 방식 사용 (최첨단 보안 게이트)
+) DES는 보안성이 낮아 현재 실무에서는 사용 X, 3DES or AES 를 사용
+) AES는 보안성이 뛰어나고 빠른 성능 제공.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됨.
SEED : 국내 개발 개인키 +) 한국 금융권에서 사용 (한국 금융권 표준 자물쇠)
ARIA : NSRI(국가보안기술연구소) 주도 개발 +) AES 대체 가능 (한국판 AES)
IDEA : 스위스 개발 PES 개선한 암호키 +) 지금은 거의 안씀 (스위스제 안전 금고)
LEA : 국내 NSRI 개발 (가볍고 빠른 IoT 자물쇠)
Skipjack : 미국 NSA 개발(전화기) (NSA가 만든 수상한 암호)
--
RC4 : Ron Rivest 가 설계한 스트림 암호화 > 문자를 하나씩 실시간으로 암호화
+) 빠르고 간단해서 과거에 많이 사용됨 (Wi-Fi 보안(WEP), SSL/TLS 등)
-> 현재는 보안 취약점(초기 키 스트림이 예측 가능) 때문에 X
LFSR : 스트림 기반 난수 생성 활용 > 랜덤 주사위를 굴리는데, 과거 결과를 일부 참고해서 다음값 생성 > 패턴이 반복
+) 보안보다 난수 생성기로 많이 활용
-- 비대칭키
RSA : MIT 공개키 암호화 / 소인수분해 어려운 큰 소수 숫자 활용 (가장 많이 쓰임)
+) 편지 봉투에 자물쇠를 채우고, 받는 사람이 열쇠로 연다.
Rabin : Rabin 개발(소인수 분해) / RSA 보다 빠름
+) 비밀번호를 풀었는데, 편지를 해석하는 여러가지 방법 > 뭐가 맞는 정보인지 추가적 확인 필요
Diffie-Hellman : 어떤 비밀교환 없이도 공통키를 교환 가능
+) RSA와 같은 다른 암호화 방식과 함께 사용됨.
DSA : 미국 표준 디지털 서명 알고리즘
+) 인감도장을 찍어서 서명을 확인 > 공개 키 크기가 커야 안전
ECC : 타원곡선 이론에 기반한 공개 키 암호 방식 (더 작은 키로 강력한 보안을 제공하는 차세대 암호화 RSA >> ECC)
+) 타원 곡선을 따라 특정 점을 찾는 게 어려움 > 특정한 수학적 연산을 적용하면, 작은 숫자로도 매우 강력한 암호를 만들 수 있음.
☆ 단방향 암호화 방식 - HASH 해시 함수
해시 알고리즘
- 해시 함수로 변환된 값/키를 해시값/키 라고 함.
- 임의 길이의 입력 데이터를 고정된 길이의 해시 값을 변환(단방향함수)
- 종류 : SHA 시리즈 / HAVAL / MD4 / MD5 / N-NASH / SNEFRU
중첩법 : 여러 부분으로 나눠 더하는 방식
+) 큰 상자를 여러 개로 쪼개서 더한다. > 같은 결과가 나올 수 있음 (충돌)
제산법 : 특정 숫자로 나눈 나머지를 사용
+) 큰 숫자를 작게 만들어서 다루기 쉽게 > 같은 결과 나올 수 있음 (충돌) 기준을 알면 역추적 쉬움
기수 변환법 : 다른 진법으로 변환
+) 주소크기를 초과하면 높은 자릿수 절단
숫자 분석법 : 특정 자리 숫자만 추출
+) 123456 중 1 3 5 만 골라서 사용
제곱법 : 값을 제곱하고 특정 부분만 사용
+) 숫자를 크게 부풀려서 암호값 생성 > 입력값이 비슷하면 결과값이 비슷
무작위법 : 랜덤한 값 추가(솔트)
+) 솔트(무작위값)를 뿌려 예측을 어렵게
오늘은 여기까지.
갑자기 일생겼음.
'Study 비전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하기 - 네트워크 이론1 (1) | 2025.04.04 |
---|---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하기 - 정보보안 이론3 (1) | 2025.04.03 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하기 - 정보보안 이론2 (0) | 2025.04.03 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합격 후기 (2) | 2025.03.25 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접수 (1) | 2025.03.2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