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늘도 깔짝인다.
기출 풀면서 느낀 점
: 용어를 한글, 영어, 약자 다 외워야 됨. (불가능)
10년 넘게 공부한 내 전공 약어도 영어로만 쓴다 야발..
☆ 서비스 공격 유형
- 서비스 거부 공격(DOS) : 한 대의 공격자가 서버에 과부하를 발생 시켜 다운
- 분산 서비스 거부공격 (DDOS) : 여러 대의 공격자가 동시에 공격하여 서버를 마비 > DOS에 비해 차단이 어려움
- Ping of Death : 허용범위 이상의 ICMP 패킷을 전송하여 표적 시스템의 네트워크 마비 > 초대형 폭탄을 던지는 공격
- Ping Flooding : 수많은 ping 요청(ICMP 메시지)을 보내 서버를 바쁘게 만드는 공격
- SYN Flooding : 연결 요청(SYN)만 보내고 응답(ACK)을 하지 않아 연결을 기다리다가 메모리 부족으로 다운
- UDP Flooding : 랜던한 UDP 패킷을 마구 보내서 네트워크 마비 >TCP 처럼 세션을 관리하지 않아 방어가 어려움
- Smurfing(스머핑) : 다른 사람을 이용한 중계 공격 > IC 스푸핑 + ICMP 반사 특성을 악용, 수많은 장치가 동시에 공격
+) 🛠 공격 과정
- 공격자가 공격 대상의 IP로 위장
- 수많은 네트워크 장치(라우터, 컴퓨터)에게 "핑 요청" 전송
- 장치들은 공격 대상의 IP로 핑 응답을 보냄
- 공격 대상은 수많은 응답을 받아 네트워크 과부하 발생!
- TearDrop : 잘못된 패킷 조각을 보내서 운영체제를 멈추게 하는 공격
- LAND Attack : 자기 자신을 공격하게 만듦. > 무한히 응답, 과부하로 다운
- Evil Twin Attack : 가짜 와이파이로 사용자 정보 탈취
- Switching Jamming : 네트워크 스위치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못하게 방해 > 쓸모없는 트래픽을 마구 보냄 MAC 주소 혼란
**Flooding : 엄청나게 많은 요청을 보내는 공격
**Smurfing : 다른 장치를 이용한 반사 공격
**Jamming : 신호나 네트워크를 방해하는 공격
☆ 정보보안 솔루션
- 방화벽(Firewall) : 네트워크의 문지기 > 네트워크의 출입문 역할로 허용된 트래픽만 통과
- 웹 방화벽(Web Firewall) : 웹사이트를 보호하는 방화벽 > 웹 해킹 공격을 탐지하고 차단
- 침입탐지시스템(IDS, Intrusion Detection System) : 해킹 시도 감지 시스템 > 차단은 안함
**침입탐지시스템의 종류
오용탐지: 기존 공격 패턴과 비교 → 빠르고 정확하지만 신종 공격 탐지는 불가능
이상탐지: 정상 패턴에서 벗어나면 탐지 → 신종 공격도 가능하지만 오탐 가능
HIDS(Host-based): 개별 호스트(서버, PC) 내부를 감시
NIDS(Network-based): 네트워크 전체를 감시
- 침입방지시스템(IPS, Intrusion Prevention System) : 해킹 시도를 감지하고 차단하는 시스템 > 방화벽과 IDS 합침
- 데이터 유출 방지(DLP, Data Loss Prevention) : 데이터를 외부로 빼돌리지 못하게 막는 시스템 > 기업 생각하기
- 가상사설망 VPN(Virtual Pricate Network) : 공용 인터넷이지만 마치 사설 네트워크 같은 효과(암호화)
- 네트워크 접근 제어 NAC(Network Access Control)
: 승인된 기기만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도록 제한 > IP관리 시스템에 MAC 주소 저장 및 관리
- 보안 이벤트 관리 ESM(Enterprise Security Management)
: 모든 보안 로그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 > 방화벽, IPS, IDS, DSP 등 로그를 한번에
- 보안 정보 및 이벤트 관리 SIEM(Security Information&Event Management)
: ESM 보다 한 단계 더 진화한 보안 이벤트 분석 시스템 > ESM + AI 기반 분석 + 자동화 대응 기능
- SDP(Software-Defined Perimeter) : Zero Trust 보안 모델을 기반으로 한 네트워크 접근 제어 방식 > 블랙클라우드
- Sandbox : 악성코드를 격리된 환경에서 실행하여 분석
- 부정거래 탐지 시스템 FDS(Fraud Detection System) : 금융사기 및 부정 거래 탐지
- 템퍼 프루핑(Tamper Proofing) : 데이터를 변조할 수 없도록 보호 > 워터마킹 등 보안요소 생성 후 보호
- Trust Zone : 프로세서 내에서 보안 영역을 따로 두어 중요한 정보 보호
☆ 정보 보안 프로토콜
** 간단 용어 정리
- 프로토콜 : 컴퓨터나 네트워크 장치가 서로 통신할 때 따르는 규칙과 약속
>> 미리 정해진 통신 규칙
- 포트 : 한 컴퓨터에서 여러 개의 네트워크 서비스를 구분하기 위한 논리적인 통로
>> 아파트(컴퓨터) & 각 집호수(포트 번호) >> 같은 IP 주소에서도 여러 개의 포트가 서로 다른 프로그램 담당
- 포트포워딩(Port Forwarding) : 외부에서 내부 네트워크의 특정 포트로 접근할 수 있도록 설정
- SSH(Secure SHell) : 원격 접속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안전하게 통신 > 기본 22번 포트
- SSL(Secure Sockets Layer) : 웹사이트에서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전송하는 프로토콜 > https:// 로 시작, 443번 포트 사용
- TLS(Trasport Layer Security)
: SSL를 개선한 버전, 현재 가장 널리 쓰임. 기밀성(암호화) + 무결성(변조 방지) + 인증(서버 인증서) 제공
- IPSec(Internet Protocol Security)
: IP 패킷을 암호화하여 보안성을 높임 > 전송 모드(데이터만 암호화), 터널 모드(IP 패킷 전체 암호화)
- S-HTTP : 개별 웹페이지를 암호화하는 프로토콜 > HTTP메시지를 암호화하여 보호 (HTTPS와 다름) -> 거의 사용 X
- TKIP(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) : WEP의 보안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개발 > AES로 대체됨
프로토콜 | 설명 | 주요 사용처 | 현재 사용 여부 |
SSH | 원격 접속 암호화 | 서버 원격 접속 | ✅ 사용 중 |
SSL | 웹사이트 암호화(이전버전) | HTTPS | ❌TLS로 대체 |
TLS | 최신 웹사이트 암호화 | HTTPS, VPN, 이메일 | ✅ 사용 중 |
IPSec | IP 패킷 암호화(VPN) | VPN, 네트워크 보안 | ✅ 사용 중 |
S-HTTP | 개별 HTTP 메시지 암호화 | 웹 보안(예전 기술) | ❌ 거의 사용 안함 |
TKIP | Wi-Fi 암호화(구버전) | WPA(이전 Wi-Fi 보안) | ❌ AES로 대체 |
☆ 코드 오류
** 이중오류랑 임의오류 헷갈림 주의
- 생략 오류(Omission) : 특정 부분이 빠진 경우 발생
>> print("Hello → 괄호 누락
- 필사 오류(Transcription) : 잘못된 문자 입력으로 발생(철자, 오타, 대소문자 오류 등)
>> useranme → username
- 전위 오류(Transposition) : 문자의 순서가 바뀌어서 발생
>> 5 + 2 * 3 대신 (5+2)*3
- 이중 오류(Double) : 전위 오류가 두 번 이상 발생
>> ABCD → CABD
- 추가 오류(Addition) : 필요 없는 문자가 추가되어 발생
>> 5 + + 3 (연산자 중복)
- 임의 오류(Arbitrary) : 다른 오류가 두 가지 이상 결합
>> prnt("Helo") (필사 + 생략 오류)
- ISMS(Information Security Manahement System)
: 정보보호 관리체계 > 조직이 정보보호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하기 위한 인증 제도
- Dark Data(다크데이터) : 기업이나 조직이 수집했지만, 한 번도 활용되지 않은 '잠재적 데이터'
정보 보안 침해 공격 포스팅은 따로.
'Study 비전공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하기 - 네트워크 이론1 (1) | 2025.04.04 |
---|---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하기 - 정보보안 이론3 (1) | 2025.04.03 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공부하기 - 정보보안 이론1 (0) | 2025.04.02 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필기 시험 합격 후기 (2) | 2025.03.25 |
[비전공자]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접수 (1) | 2025.03.24 |